1. 손실회피 효과 - 잃을 것이 더 크게 느껴진다
같은 크기의 이익과 손실이라도 이익에서 얻는 기쁨보다 손실에서 느끼는 고통이 더 크다.
실제 손실회피 효과를 반영한 디스플레이 광고
2. 사회적 검승 효과 - 인간은 다수를 따른다
인간의 DNA에는 ‘집단을 따라야 살 수 있다’는 본능이 새겨져 있다. 인간이 야생에서부터 진화해온 역사 속에서 사회적 검증은 유용한 생존 전략으로 증명되었다.
사회적 검증 효과를 반영해 제작한 디스플레이 광고. 최근 뜨고 있는 삼점삼이 떠오른다.
3. 상호성 효과 - 받은 만큼 돌려주고 싶어진다
‘상호성 효과’란 누군가 자신에게 호의를 베풀면 빚을 졌다고 생각해 갚아야 되겠다는 마음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.
•
고객 생일에 맞춰 문자, 카카오톡으로 할인쿠폰, 기프티콘을 보내는 전략.
•
회원가입이 되어 있는 고객들에게 최신 리서치 자료를 무료로 제공하는 전략.
•
토스가 계좌 개설 시 주식 1주 증정을 해줬던 전략 (이벤트 한 달 만에 계좌 수 100만 돌파)
•
카카오톡 선물하기 내 ‘000님과의 추억’ 섹션. 서로 보답하면서 카카오 매출 상승.
4. 틀 짓기 효과 - 말 한마디로 천냥 빚을 갚는다.
틀 짓기(Framing)는 ‘틀에 넣는다’는 뜻으로 똑같은 형상이더라도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사람들의 반응이 달라지는 것. 컵에 물이 반 정도 남아있을 때, ‘반밖에 없네’ → ‘반이나 있네!’
‘보증금 0원’이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자취생들이 가장 불안해하는 요소인 ‘보증금 사기’를 틀로 잡아, 고객이 믿고 사용할 수 있도록 했음.
5. 호감 효과 - 감정이 지갑을 연다.
누군가에게 호감이 생기면 그 사람에게 물건을 사거나 그 사람을 도우려고 하는 심리.
▽사람이 사람에게 호감을 느끼는 3가지 요인
•
외모가 매력적인 경우
•
출신·인품·관심사가 비슷한 경우
•
상대가 먼저 호감을 보인 경우
▼ 광고로 본다면
•
광고 소재가 매력적인 경우
•
내 관심사에 맞는 서비스일 경우
•
개인 맞춤형 광고 카피일 경우
호감 효과를 반영해 제작한 디스플레이 광고
6. 희소성 효과 - 귀한 것에 끌린다
언제나 가질 수 있는 물건이 아닌, 아무나 가지지 못하는 물건이 되면서 마음을 끄는 것.
•
한정 수량, 한정판, 갯수 제한
•
실제 시간이 카운팅되고 있거나, 갯수가 차감되고 있는 이미지
7. 대비 효과 - 비교가 결정을 부른다
대비효과란 사람들이 무언가 선택하고 판단할 때, 비교 대상군이 없을 때보다 있을 때 판단하기가 쉬워지는 것.
•
할인: 기존 판매가가 5만 원인 제품을 그냥 5만 원이라고 적어놓는 것 보다 7만원에서 2 만원을 할인하여 5만 원이 되엇다고 적는 것이 매력적으로 느낀다.
•
크로스 셀링: 애플스토어에서 맥북을 구매한 사람은 악세서리를 구매하려고 할 때 비용에 대한 민감도가 이전보다 떨어진 상태로 구매하게 된다. 270만 원짜리 맥북에 비해 7만 원짜리 무선 마우스는 저렴해 보이기 때문이다.
펩시가 경쟁사인 코라콜라보다 맛이 좋다는 것을 비교한 광고.
요약
•
첫 번째, 손실회피 효과 - 잃을 것이 더 크게 느껴진다
•
두 번째, 사회적 검증 효과 - 인간은 다수를 따른다
•
세 번째, 상호성 효과 - 받은 만큼 돌려주고 싶어진다
•
네 번째, 틀 짓기 효과 - 말 한마디로 천냥 빚을 갚는다
•
다섯 번째, 호감 효과 - 감정이 지갑을 연다
•
여섯 번째, 희소성 효과 - 귀한 것에 끌린다
•
일곱 번째, 대비 효과 - 비교가 결정을 부른다